33
/
AIzaSyAYiBZKx7MnpbEhh9jyipgxe19OcubqV5w
October 1, 2025
Create a timeline
Public Timelines
For education
For educational institutions
For teachers
For students
Cabinet
For educational institutions
For teachers
For students
Open cabinet
FAQ
Get premium
Close
Create a timeline
Public timelines
Library
FAQ
About & Feedback
Terms
Privacy
Library
FAQ
Support 24/7
Cabinet
Get premium
Donate
The service accepts bank transfer (ACH, Wire) or cards (Visa, MasterCard, etc). Processed by Stripe.
Secured with SSL
Download
Export
Duplicate
Premium
Embed
Share
선사시대 - 삼한
Category:
Other
Updated:
12 May 2020
1
0
310
Contributors
Created by
Youngwon Park
Attachments
Comments
Events
대표적 유물/유적 - 청동기: 비파형 동검, 거친무늬 거울 (지배자의 의식용 도구) - 석기 농기구: 반달 돌칼 등 농사 도구는 여전히 석기 - 토기: 민무늬 토기, 미송리식 토기 - 무덤: 고인돌, 돌널무덤 생활 모습 - 벼농사의 시작: 밭농사가 중심을 이루었지만, 일부 저습지에서 벼농사 시작 - 거주지: 산간, 구릉지에서 집단적 취락 생활을 함. (배산임수 지형) - 움집의 변화: 점차 지상 가옥화되었으며, 직사각형의 집터에 화덕은 한쪽 벽으로 이동. - 계급의 발생과 국가의 출현 - 계급의 발생: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잉여 생산물이 생겨났고 빈부의 차가 커지면서 계급이 발생함 군장의 등장 - 정복 전쟁이 활발해지면서 강력한 힘을 가진 군장이 등장함 - 군장은 하늘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고 선민사상을 내세우며 권위를 세움 - 많은 사람들을 동원하여 거대한 고인돌을 만듦 - 국가의 출현: 힘이 강한 군장이 청동제 무기를 사용하여 주변 지역을 정복, 사회 규모가 확대되면서 국가 출현
철기 시대 시기: 기원전 5세기경 철기 문화가 전래되기 시작 특징 - 철기의 사용: 철제 무기와 철제 농기구 사용 - 독자적 청동기 문화: 세형동검 (한국식 동검), 잔무늬 거울, 거푸집을 통해 한반도에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. - 토기: 검은 간 토기, 덧띠 토기 등이 발견 됨 - 무덤 형태: 널무덤, 독무덤 등이 나타남 중국과의 교류 - 명도전, 오수전, 반량전 등의 중국 화폐가 출토 됨 -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붓이 출토되면서 한자의 사용을 짐작 할 수 있음
고조선의 건국: 청동기 문화와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성립 단군 신화 - “삼국유사"에 의하면, 환웅이 웅녀와 혼인하여 낳은 단군왕검이 홍익인간을 이념으로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을 세움. - 건국에 관한 기록 - “삼국유사" (일연) - “제왕운기" (이승휴) - “동국여지승람" 고조선의 영역 - 중국 랴오닝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주변 지역을 통합. 한반도 북부 지역까지 세력 확대 - 비파형 동검이나 탁자식 고인돌의 분포를 통해 고조선의 영역을 짐작 가능 고조선의 발전 -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철기 문화를 수용하며 발전 - 기원전 3세기부터 부왕, 준왕 등장, 왕위 세습. 상, 대부, 장군 등의 관직을 둠 - 중국의 전국 7웅 중 하나인 연과 대적할 만큼 강성하였다 - 전국 7웅: 중국 전국 시대 (기원전 403 - 221)에 패권을 다투던 진, 초, 연, 제, 한, 위, 조 등 일곱 개의 나라를 지칭
위만 조선의 성립 - 중국의 진, 한 교체기 (기원전 3세기경)에 위만은 무리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옴 위만은 준왕에게 신임을 받아 서쪽 변경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게 됨 - 서쪽 변경에 거주하는 이주민 세력을 통솔하고 세력을 키워 수도인 왕검성에 쳐들어가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됨 위만 조선의 발전 - 철기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강력한 국가로 성장 - 우거왕 시기에는 중국의 한과 남방의 진 사이의 중계 무역으로 이익을 독점 고조선의 멸망 - 고조선의 발전에 위협을 느낀 한 무제의 침입으로 멸망 - 멸망 이후 고조선의 일부 지역에 한 군현이 설치 됨 - 군현제: 진나라때 실시된 지방 행정 제도, 지방을 군과 현으로 나누어 황제가 임명한 관리를 통해 다스리는 제도
고조선의 사회 모습 - 고조선에서는 사회의 기본 질서를 유지하는 8조법이 있었으며, 현재 3개의 조항만이 전해짐 1)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인다. - 생명 중시, 노동력 중시 2)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. - 사유 재산 제도의 형성, 농경 사회 3) 도둑질을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. 용서받고자 하는 자는 한 사람마다 50만 전을 내야 한다. - 형벌과 노비의 존재, 계급 사회 고조선이 멸망하고 한 군현이 설치된 이후, 법 조항이 60여 조로 증가 함
부여 성립과 발전 - 쑹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성장 - 1세기 초에 왕호 사용, 중국과 외교 관계 맺음 정치 - 5부족 연맹체 - 왕 아래 가축 이름을 딴 대가 (마가, 우가, 저가, 구가) - 대가들은 대사자, 사자, 대사 등의 관리를 둠. 사출도 독자적으로 지배 (사출도: 부여의 행정 구역. 중앙의 왕, 지방 4곳에 4가가 있어 그곳의 주민을 다스림) 사회 - 지배층: 왕, 제가, 호민 / 피지배층: 평민(하호), 노비 - 1책 12법: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는 12배를 갚게 함 경제 - 목축을 주로 함. 말, 주옥, 모피 수출 풍습 - 영고: 12월에 제천 행사 영고를 열었다 - 순장: 왕이 죽으면 부장품과 함깨 사람도 매장 - 형사취수제: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와 조카들을 거둠 - 우제점법: 소의 발굽으로 길흉을 점쳤다
부여의 멸망과 역사적 의의 - 3세기 말 선비족의 침략으로 세력이 위축, 5세기 말 결국 고구려에 흡수 - 연맹 왕국 단계에서 고구려에 흡수되었으나, 고구려, 백제가 부여의 계통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큼
성립 - 건국 (기원전 37): 부여에서 남하해 온 주몽이 압록강의 지류인 졸본 지방에서 건국 - 건국 초기부터 주변 국가들을 정복, 이후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기고, 5부족 연맹을 토대로 발전 정치 - 왕 아래 상가, 고추가 등 대가들이 있었으며, 각각 독립적으로 사자, 조의 선인을 거느림 - 왕과 대가는 하호와 노비를 다스림 사회 -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 회의를 통해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음 - 12책 12법: 반역자, 살인자, 전쟁에서 패한 자 = 사형, 도둑질한 자는 12배로 배상 경제 - 산악 지대에 위치하고 토지가 척박하여 농사 짓기 어려움 풍습 - 조상신 숭배: 건국 시조인 주몽과 그 어머니인 유화 부인을 섬김 - 동맹: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치룸 - 서옥제: 남자가 혼인을 한 후 일정 기간 처가에서 살다가 자식이 크면 가족을 데리고 남자 집으로 돌아가는 혼인 풍습
옥저와 동예 옥저 - 지금의 함경도 동해안 지역 - 혼인 풍습: 민며느리제 (어릴 때 약혼하여 신부가 신랑 집에서 살다가 성인이 되면 친정에서 대가를 받고 정식으로 혼인하는 제도) - 장례: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했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 동예 - 지금의 강원도 북부 동해안 지역 - 경제: 명주와 삼베를 짜는 방직 기술이 발달, 특산물로 단궁 (활)과 과하마 (과실나무 아래를 지나갈 정도의 작은 말), 반어피 (바다표범의 가죽)가 있었다. - 무천: 10월의 제천 행사 - 풍습: 족외혼, 다른 부족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 했을 때는 책화라고 하여 노비나 소, 말 등으로 배상 - 주거 생활: 철 (凸)자 모양과 여 (呂)자 모양의 집터에서 생활
삼한 (마한, 변한, 진한) 정치 - 목지국 주도: 삼한 중 마한의 세력이 가장 컸으며, 마한의 소국 가운데 하나인 목지국의 지배자가 마한왕 또는 진왕으로 추대되어 삼한 전체를 주도 - 정치적 지배자: 신지, 견지(대족장), 읍차, 부례(소족장) 제정 분리 - 제사장인 천군은 소도에서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 - 소도: 신성 지역인 소도는 정치적 지배자의 권력이 미치지 못했으므로, 죄인이 들어와도 잡아갈 수 없었음 경제 - 철제 농기구 사용, 벼농사 발달 - 변한에서 철을 많이 생산하여 화폐처럼 사용, 낙랑, 일본 등에 수출 제천 행사: 해마다 씨를 뿌리고 난 뒤에는 5월에는 수랏날, 가을걷이를 마치는 10월에는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냄 삼한 사회의 변화: 마한은 한강 유역에서 성장한 백제에 통합, 변한 지역에서는 구야국, 진한 지역에서는 사로국이 성장함
Periods
청동기 시대
철기 시대
고조선
부여
위만 조선
고구려
About & Feedback
Terms
Privacy
Library
FAQ
Support 24/7
Cabinet
Get premium
Donate
The service accepts bank transfer (ACH, Wire) or cards (Visa, MasterCard, etc). Processed by Stripe.
Secured with SSL
Comments